전체 글22 삼국의 문화 4)삼국의 문화 발전 4-1)유학 -고구려 : 수도에 태학, 지방에 경당을 두어 교육 실시 구분 태학 경당 지역 중앙 지방 시기 소수림왕 장수왕 대상 귀족 자제를 위한 관립학교 평민도 입학 가능한 사립 학교 내용 유학과 역사서를 교육 한학, 무예를 교육 -백제 : 오경박사, 의박사, 역박사 등을 두어 학문 연구 -신라 : 화랑도와 임신서기석 *신라 목간 : 성내의 집수정에서 출토된 “논어” 목간은 신라시대 토기 및 기와들과 함께 출토되어 신라 목간으로 보이며 당시 한자는 물론 경전(논어)까지 이미 도입되었다는 사실 입증 4-2)불교 -불교 전래 ①소수림왕 : 전진의 순도→고구려 ②침류왕 : 동진의 마라난타→백제 ③눌지왕 : 고구려 묵호자(아도)→신라/원표→신라 왕실 &법흥왕 때 공인 *동진의 지둔법사가 .. 2021. 10. 18. 삼국의 경제 3)삼국의 경제 발전 -고구려 : 전사법으로부터 집단적인 공동경작을 하였던 모습도 나타나지만 자기토지를 경작하는 자영농민이 일반적인 형태 -재산을 정도에 따라 호를 나누어 곡물과 포 등의 조세를 거둠 -고구려가 3등호제를 기준으로 수취한 것은 사회·경제적 분화가 이루어졌음을 반영→유목민에 대한 차별 과세는 북방 이민족을 다수 포괄하고 있던 고구려의 특수성 -호조는 그 세액이 인두세보다 훨씬 적은 보조적인 세목 -그 지역의 특산물을 거두는 공납(=인두세) ①조보다 훨씬 큰 부담 ②일반민을 매년 징수, 유인은 3년마다 징수 -15세 이상 남자의 노동력을 동원 -삼국의 토지 측량 기준 ①고구려 : 경무법(밭이랑 기준) ②백제 : 두락제(파종량 기준) ③신라: 결부제(수확량 기준) -신라는 중앙의 품주에서 수취.. 2021. 10. 18. 삼국의 행정 2)삼국의 행정 구분 고구려 백제 신라 관등제 구분 10여 관등 6좌평, 16관등 17관등(경위), 11관등(외위) 호칭 ~형, ~사자 ~좌평, ~솔, ~덕 ~찬, ~나마 정비 고이왕 법흥왕 관복 자색-비색-청색 자색-비색-청색-황색 중앙 관제 정비 중외대부, 주부(재정담당), 내평(내무담당), 외평(외무담당) 6좌평 :내신(인사,왕명출납), 내법(의례, 교육), 조정(형벌, 법률), 내두(재정),병관(국방), 위사(숙위) 22부 :내관 12부+외관 10부 법흥왕 : 병부 진평왕 : 위화부, 조부, 예부, 승부 진덕여왕 : 집사부, 창부 감찰기구 사정부(무열왕),외사정(문무왕) 수상 좌보,우보→국상→대대로(선출)→막리지(세습) 상좌평,좌보·우보 상대등, 각간 귀족 합의 제도 제가회의 남당회의, 제솔회의 .. 2021. 10. 17. 삼국의 사회발전 2.삼국의 사회‧경제‧문화의 발전 1)삼국의 사회 발전 -귀족 : 사회‧경제적 특권 ex)백제의 팔성 귀족 -고구려 귀족 : 고씨를 비롯한 5부 출신의 귀족 -백제 귀족 : 부여씨와 대성8족(사씨, 연씨, 협씨, 해씨, 진씨, 국씨, 목씨, 백씨)의 귀족 *신라의 화백회의 : 진골 귀족의 회의 기관으로 의장은 상대등이고, 만장일치의 의결방식 -삼국의 문화 : 혈연적 동질성+문화적 공통성(언어,풍속) -평민 : 대부분 농민으로 조세를 납부하고 노동력을 징발 *용민 : 평민 가운데에 자기 토지를 갖지 못하고 남의 토지를 경작하거나 품팔이로 사는 사람 -천민 : 노비 ex)전쟁노비, 부채노비, 형벌노비, 세습노비 -골품제 : 왕경인, 소경인 대상으로 신라 사회에서 개인의 사회 활동과 정치 활동의 범위까지 엄격.. 2021. 10. 17.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