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삼국통일 4)대외 항쟁과 삼국의 통일 -고구려 : 영양왕이 말갈병사를 보내 수의 요서지방을 선제 공격하고 남진 정책을 추진하여 세력권 회복 -수나라와 고구려의 갈등 ①고구려와 돌궐의 연계에 대한 우려 ②돌궐, 거란, 말갈에 대한 상권을 고구려가 가지고 있음 ③수 통일 과정에서 불만 가진 군대 세력을 달래는 등 내부 안정 -수와의 전쟁 ①수 문제 30만 대군 격파 ②수 양제 : 수의 별동대는 을지문덕에 의해 살수에서 크게 격파 →천리장성 축조(부여성~비사성) *을지문덕의 초토작전 *천리장성 ①부여성에서 라오허 강 하구까지 토축 서역을 축조했다는 설 ②랴오닝 성 시평 성자산산성에서 요동 반도 남단인 다롄 대흑산산성(비사성) 사이에 있었던 기존 산성을 연결했다는 설 *백암성 : 고구려의 요동지역 방어 거점 중 하나로서.. 2021. 10. 17.
가야 3)연맹 왕국 가야 -철을 낙랑군과 왜에 수출→금관가야 중심(김수로=뇌질청예) -철+수로 교통의 이점→국가 발전=6가야 : 금관가야(김해), 소가야(고성), 아라가야(함안), 고령가야(함창), 대가야(고령), 성산가야(성주) -금관가야는 낙랑군을 통해 일본에 선진문물을 전해주었고 그 대가로 노동력이나 군사력 제공 받음 -금관가야의 왜 교역 : 2c이후 일본의 북규슈 일대의 소국들과 교역→3c에 산인, 산요 지방을 거쳐 긴키 지방까지 교역 확대 -가야 연맹 내부에서 포상 8국의 난 발생→신라 내해 이사금의 도움으로 진압 -백제의 남해안 진출+낙랑군과 대방군의 멸망+광개토 대왕의 공격→ 대가야(이진아시왕=뇌질주일) 중심으로 변환 -대가야 ①대가야 성장 배경 ⦁국내 : 농업과 철제를 기반으로 성장 ⦁국외 : .. 2021. 10. 15.
신라(눌지왕~진덕여왕) (3)신라 -5c 전반에 낙동강 동쪽 지역으로 넓히고 후반엔 소백산맥 일대에 방어체계를 구축하여 한강 유역을 진출할 교두보 마련 -눌지왕 ①고구려 지원으로 실성왕 제거 ②왕위 부자 상속제 확립 ③비유왕과 나제동맹 결성 ④고구려 승려 묵호자가 불교 전파 -자비왕 ①정치 : 서울의 방리이름 정함 ②외교 : 백제 개로왕이 문주를 보내 구원을 요청하자 원병을 백제에 파견 ③문화 : 백결선생의 방아타령(대악) 창작 -소지왕 ①장수왕의 남진 정책에 반대하여 백제 동성왕과 혼인 동맹 ②시장 개설 ③우역설치 ④6촌을 6부로 개편 -지증왕 ①국호 신라 ②왕의 칭호 사용 ③이사부(하슬라주)를 앞세워 우산국 정복 ④순장 금지=신라왕 자신은 물론 소국의 간들까지도 더 이상 그러한 노예 소유자적 존재로 군림해서는 안 됨을 선포.. 2021. 10. 15.
고구려(소수림왕~보장왕) (2)고구려 -소수림왕 ①율령 반포 ②불교 공인(전진의 순도가 전래) ③태학 설립 ④전진과 우호 관계 (전진도 통일하기 위해 배후를 안정시킬 목적) ⑤신라와 수교하여 백제를 봉쇄 -광개토대왕(담덕) ①후연(선비족 모용씨)과 거란(비려)을 격파하여 만주 지방 차지 ②신라에 침입한 왜를 격퇴하면서 신라와 가야에 영향력 행사 ③영락연호 사용 ④동부여, 숙신 격파 *호우명그릇 : 신라와 고구려와의 긴밀한 관계 *광개토대왕릉비(=호태왕비)(장수왕) : ①건국신화, 고구려 역대 왕의 내력 →서문으로 추모왕 건국 신화→유리왕~광개토대왕에 이르는 세계의 약력→비의 건립 경위 기술 ②광개토 대왕의 활동 :비려공격→백제공격→숙신 공격→왜 공격→동부여 공격 ③능을 지키는 수묘인 연호의 명단과 수묘지침, 수묘인 관리 규정 기.. 2021. 10. 15.